티스토리 뷰
요즘 나에게 부족한 점이 무엇인지를 고민하던 중 이 책을 보게 되었다. 실은 이 책의 존재에 대해서는 예병일씨의 메일링 서비스를 통해서 이미 알고 있었다. 그래서 더더욱 이 책의 실제 내용이 더욱 끌렸는지 모르겠다.
하지만, 실제로 책을 읽고난 후의 느낌은 조금 실망이다. 이 책의 저자인 왕중추씨가 "저자후기"에서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 집필에 착수하고 나니 나의 능력이 부족하다는 것을 절감할 수밖에 없었다. 우선 디테일이라는 개념을 자세하게 분석하고 그동안 국내외적으로 이와 관련한 사건들에 주의를 기울여오긴 했지만, 실제로 그것을 집필에 활용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다. 또한 디테일은 사물이 발전함에 따라 부단히 변화하는 것이고 사람들의 인식도 사물의 발전과정에 따라 제한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이 책에 디테일의 심오함을 제대로 담아냈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자신있게 말하기가 어렵다. 이 점에 대해서는 마땅히 독자들에게 양해를 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럼에도 이 책이 사회적으로 디테일이라는 문제에 대해 주의를 환기시키고, 또 이를 계기로 사람들이 디테일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데 조금이라도 일조할 수 있다면, 내가 용서받지 못하는 한이 있어도 무한한 보람을 느낄 것이다. ..." (p.303~304)
이 책은 확실히 디테일이라는 주제에 대해 주의를 환기시키고, 이를 독자에게 화두로서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저자가 책의 처음부터 끝까지 과용하고 있는 "디테일"이라는 개념 및 용어에 대한 정확한 정의 또는 설명도 없다. 저자는 책의 처음부터 끝까지 여러가지 사례를 들어가며 자신의 주장을 나열했을 뿐이다. 각 사례에 대한 깊은 성찰을 통해 하나의 통일된 개념을 만들어 내지는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더군다나 몇몇개의 사례는 저자가 주장하는 사소한 것으로부터 시작되어 큰 문제가 되었다기 보다, 변화하고 있는 사회에 맞게 각종 제도와 시스템을 끊임없이 혁신하지 못했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한 것도 모두 "디테일" 이라는 이름으로 뭉뚱그려 놓았다.
아마도 저자가 얘기하고자 했던 "디테일" 이라는 것이 다음과 같은 것이 아니었을까 한다.
첫째, 모든 일처리는 치밀하게 계획되고, 실행되고, 관리되어야 한다.
회사의 일이던, 개인의 일이던 세상에 중요하지 않은 일이란 없다. 지금은 그것이 하찮아 보이더라도, 이것이 누적되고, 파급효과를 일으키게 되면 몇배의 수고를 들여 해결해야만 하는 큰 일로 바뀌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무슨 일이든 항상 치밀하게 계획하고, 실행하고, 관리되어야 한다.
둘째, 자기 부정 및 대안 모색을 통해 끊임없는 개선 및 보다 높은 목표를 추구하여야 한다.
어느 정도 수준에 도달했다고 해서 개선이나 혁신 작업을 멈추거나 게을리하게 되면 그 조직은 곧 경쟁력을 잃게 될 것이다. 고인 물은 썩기 마련이다. 항상 처음과 같은 마음을 유지한 채 끊임없이 업무 및 시스템, 그리고 스스로를 끊임없이 개선해야 한다.
개인적으로 이 책의 구성 및 전개 방법이 마음에 들지는 않으나,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저자는 일류를 지향하는 회사 및 사회의 구성원이 고민해야 할 화두를 제시하고 있다. 이것에 대한 해답을 찾는 것은 독자 자신에게 달린 일일 것이다.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창의성
- 공병호
- 영화
- 예병일
- 아이폰4
- 투표
- 미국산 쇠고기
- 사진
- 예병일의 경제노트
- 광우병
- 쇠고기
- 현대자동차
- 스트레칭
- 부자
- 2007년
- 습관
- 사업가
- 프로젝트관리
- 미국
- 케이티
- 화두
- KT
- 성공
- 이명박
- 티스토리
- 인생
- 행복한 경영이야기
- 리더쉽
- 지혜
- 자기계발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