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 아무 생각없이 볼 수 있는 오락 영화를 즐기다 보니, 박찬욱 감독의 영화 중에서는 "올드보이" 정도가 기억에 남아 있는 정도였다. 많은 사람들이 감상을 했다는 "친절한 금자씨" 조차도 보지 않았다. (케이블 TV를 통해 몇번 볼 기회가 있었으나, 어째서인지 본 적이 없다.)

뭐 영화가 개봉하기 전에 주연배우인 송강호씨의 성기가 노출 되었다 어쩠다는 이야기가 화제가 됐었다는데, 그딴 건 관심사가 아니었고. 나의 기억 속에 강렬한 인상을 남긴 영화인 "올드보이"의 감독인 박찬욱 감독의 영화에 내가 좋아하는 배우인 송강호씨가 주연으로 나온다는 사실만으로 굉장히 관심이 가는 영화였다.(이 영화에 신하균씨가 조연으로 나온다는 사실조차 몰랐다. ^^)

이 영화의 경우 한글 제목인 "박쥐" 보다는 영어 제목인 "The Thirst"가 보다 적절한 표현이라는 생각이 든다. 뭐 그걸 한글로 "갈증", "목마름" 등으로 다시 번역을 한다면 웃기는 개그겠지만.

여기서 그려지고 있는 뱀파이어의 모습은 어렸을 때부터 영화에서 보았던 것과는 달리 커다란 송곳니도 없고, 박쥐로 변신을 할 수도 없다. 또한, 전혀 괴기스럽지 않은 모습으로 인간 속에 섞여 생활한다. 단지, 햇볕에 나설 수 없다는 것과 인간의 피를 마셔야 생명을 유지할 수 있고, 보통 인간 보다 훨씬 강력한 괴력을 가지고 있다는 설정은 그대로 가져간다. 한가지 웃기는 것은 등장하는 뱀파이어의 경우 일반적으로 다른 영화에 등장하는 수백년을 살아온 산전수전 다 겪은 고참의 모습이 아니고, 그저 우리 주변에 같이 생활하던 평범한 사람이 하루 아침에 뱀파이어화 된 것이어서. 그들은 자신의 모습에 스스로 놀라며, 고민하고, 방황한다.

영화의 소재가 소재이다 보니, 중간 중간 잔인하거나 혐오감을 유발할 수 있는 장면이 나오기는 하지만, 전체적인 영화의 흐름은 좋았던 것 같다. 글 서두에서도 이야기 하였듯이 난 작품 영화는 즐기지 않는다. 아니, 즐기지 않는다는 것보다는 대부분의 작품 영화를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이 더 적절하리라. 그럼에도 영화 "박쥐"는 스토리 라인에서 내가 완전히 튕겨나가지 않도록 완급 조절을 해주었다. (뭐 또 감독의 작품 세계를 이해하지 못하고 또 남의 다리 긁고 있는 소릴지도. ^^)

박찬욱 감독은 과장되고, 희화된 인물들을 통해 "인간의 본성"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있는 듯 하다. 인류를 위해 위험한 바이러스(EV)의 생체실험에 자신의 목숨을 던져 자원했던 신부 상현이 잘못된 피를 수혈 받아 뱀파이어가 되어 버린 아이러니한 상황과 부자연스럽고, 비인간적인 친구 가족과의 관계를 통해 이야기를 풀어간다. 특히, 극중 대사 중 저 포스터 속에 있는 대사가 가장 기억이 남는다.

"내가 이 지옥에서 데리고 나가 줄게요."

영화를 보는 도중에는 다소 혼란스러운 면이 있기도 하지만, 다 보고 나서는 나와 남에 대해서 곰곰히 생각하게 만들어 주는 영화인 것 같다. 그 예전에 봤던 "올드보이" 마냥 나의 머리 속에 강렬한 인상을 남기지는 않지만, 대신 나의 마음 속에 강렬한 화두를 심어놓는 영화인 것 같다.






이 영상 자체도 꽤 오래전에 제작이 됐었다고 알고 있었지만, 그동안 보지 못하고 있다가 UCC에서 발견하게 되어 내용을 살펴보았는데..

정말 이 영상의 내용을 보면 미국인 그 당시 기술로 달에 사람을 보낸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영상의 내용 중 가장 압권이었던 것은 사진과 영상의 내용을 보면 여러 지점의 인공 조명이 존재했었다는 사실이다. 그런 일은 나의 상식으로도 달 표현에서는 절대로 일어날 수 없는 일이다. 목숨이 왔다갔다 하는 판에 우주비행사가 사진이 잘 나오게 하기 위해서 달표면에서 뛰어다니면서 조명 기구를 설치할 리가 없지 않은가? :)

지금 그 당시 방영됐던 영상을 보더라도 너무 조잡한(?) 수준임에 놀라울 따름이다. ^^
(특히, 착륙선 출발 장면이 압권이었음)

어릴 적에 "육백만불의 사나이", "맥가이버" 등의 미국 외화를 보고 자라서인지, 미국이라는 나라는 정말 공명정대하고 정의로운 나라라고 착각했었던 소시적 시절도 있었다. 하지만, 양파 껍데기 마냥 하나씩 벗겨질때마다 드러나는 미국이라는 나라의 추악한 진실을 접할 때면 미국의 문화 제국주의에 물들어 있던 내 자신이 한심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최근에도 각종 산업 협회 등과 같은 이익 집단의 로비에 휘둘려 다른 나라를 침공하고, "광우병"의 위험이 있는 자국 소고기의 위험성을 은폐시키고, 이를 수입하도록 압력을 행사하고, 자국의 투기 자본이 세계 각국에서 이익을 갈취하기 위해 걸림돌이 되는 모든 금융 규제는 제거하기 위해 압력을 행사하는 미국의 모습은 더이상 본인들이 자칭하였던 "세계의 경찰"은 더이상 아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