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난 이미 3G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아이패드2를 사용하고 있다.


뭐 비록 테스트 기기여서 개인적인 설정이나, 내용을 전혀 담지 않으려 하고 저장공간도 16GB 밖에 안되다 보니 여러가지 뭔가를 해보기는 부족하지만, 그렇다고 거의 나밖에 사용하지 않는 기기이기 때문에 개인적인 내용을 담아놓아도 무방한 기기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슨 태블릿으로 시작해야 하느냐에 대해 고민하는 것은


1) 기왕이면 내가 가지고 있는 환경에 국한하고 싶지 않았고

2) 한국 시장 상황을 보다 이해하기 위해서는 시장 점유율이 95%가 넘어간다는 안드로이드 환경에 대해서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어 보였고


무엇보다도 "새 태블릿이 사고 싶었;;;"


아이패드2가 현역 기기로 iOS 최신 버전을 올리고도 현재까지 쌩쌩하게 활동하고 있기는 하지만,


최신 하드웨어인 레티나 이상의 해상도의 컨텐츠를 보고 싶기도 했고,

요즘은 느낌적인 느낌일 수도 있겠지만 좀 버벅거리는 느낌이 있기도 했다.



그래서 만약 "사람들이 태블릿을 구매한다면?" 이라는 내용에 대해 한번쯤은 생각을 정리해 보고 싶었다.



1) Mobile OS


현재 시점에서 태블릿 OS로서 선택 가능한 범위는 iOS와 Android일 것이다.


Android의 경우 이전 버전까지는 iOS의 상대로서 완성도 및 터치 응답속도가 부족하다(특히, 태블릿 환경에서는)는 평가가 많이 있었지만, 주변 사용자들의 평에 따르면 빠른 발전 속도로 그래도 완성도 및 터치 응답속도 면에서도 많은 발전을 이뤘다는 이야기들도 있다.


특히 Mobile OS의 선택에 있어 또 한가지 반드시 고려할 사항은 선택 가능한 단말기에서 최신 OS를 얼마나 잘 지원해 주느냐 인데...


현재까지 안드로이드 단말기 제조사 중에는 개인적인 기준으로는 OS 업그레이드를 제대로 해주고 있는 업체가 한 곳도 없다. 단적으로 2013년 10월말 구글에서 안드로이드 킷캣 버전을 발표하였지만, 해당 OS를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는 아직 극히 제한적이다. 

(특히 태블릿은 Nexus 7 2세대 밖에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이는 생각보다 중요한 이슈로 중요한 보안 패치의 적용 시기가 매우 늦어지거나 적용 대상에서 제외될 수도 있고, 최신 OS 기능을 사용해 보기 위해서는 또다시 새로운 단말기를 구입해야만 하는 상황이 될 수도 있다.


그에 비해 iOS의 경우 하드웨어 사양이 도저히 따라갈 수 없는 구형 단말기를 제외하고는 최신 OS 패치 시 구형 단말기들도 대부분 지원을 해주곤 한다. (아직까지는 ^^)


그런 점을 고려한다면, Android 계열에서 고려해볼만한 단말기는 그나마 레퍼런스 폰인 "Google Nexus 7 2세대" 뿐으로 보인다.

(그 마저도 향후 OS 메이저 업그레이드가 있을 경우 어느 범위까지 지원해 줄 지에 대해서는 확신이 없다.)



2) 앱 생태계


초기 태블릿 시장에서는 iOS와 Android간 앱 생태계 차이는 비교 불가 수준이었으나, 최근엔 Android 단말기 시장이 급성장하였기 때문에 보통의 사용자가 사용하기에는 거의 차이가 없는 수준이 아닐까 싶은 정도가 되었다.


전 세계 주요 서비스들(Facebook, Twitter, Google 등)에서 제공하는 기능들은 iOS / Android 간 지원 앱의 UX적 디테일의 차이가 있을 수는 있으나 근본적인 기능의 범위나 종류가 다르진 않다.


또한 각 플랫폼간 데이터 연동을 할 수 있는 cloud storeage 서비스 등등도 대부분 양쪽 플래폼을 지원하고 있으며, 차이가 있다고 하면 최근 엄청나게 쏟아져 나오고 있는 게임들 또는 아직 규모를 갖추지 못한 소규모 startup 서비스 정도일 듯 하다.


예전엔 iOS 시장에서 신규 서비스 또는 앱의 시장 반영을 먼저 확인해 보고 Android 시장으로 진출하는 경우들도 있었으나, 요즘은 양쪽 시장을 동시에 또는 오히려 사용자가 많은 Android 시장에 먼저 출시하는 경우들이 많아 보인다. (물론 해외 서비스는 여전이 좀 다를 수 있다.)



3) 단말기 가격


구매 가능한 단말기 후보로서는 Apple의 iPad 최신형 시리즈와 Google의 Nexus 7 정도인 것 같고 각각 온라인 스토어에서의 판매 가격은 다음과 같다. (단말기 스펙 기준은 저장용량 32GB + LTE 지원 모델)


* Apple iPad Air : 890,000원

* Apple iPad mini Retina : 770,000원 (iPad Air 대비 -120,000원)

* Google Nexus 7 : 459,000원 (iPad Air 대비 -431,000원, 거의 반값이네요)


위 가격에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할 내용은 Apple은 온라인 스토어에서 구매 시 소위 "묻지마 환불"을 지원함으로써, 뽑기 실패 시 "구매 취소 후 재구매"라는 기술을 시전할 수 있도록 해주고 있으나, Google은 해당 옵션을 지원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


또한 Apple은 모든 단말기에 대해서 1년 무상 AS(리퍼 포함)을 지원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구글 플레이 페이지에서는 AS 규정에 대해서는 자세한 언급이 없어 잘 모르겠다. 아마 예전 주워들었던 내용에 따르면 AS는 거의 포기 수준이 아닐까 싶기도 하다. (아수스 코리아에서 수리 지원을 하는 것 같기도 하네요. ^^)



4) 단말기 크기


현재 아이패드2를 사용하고 있고, 예전에 갤럭시 탭7을 사용하긴 했었는데...

솔직히 2개 크기, 무게 모두 나에겐 휴대성이나 활용도 면에서 모두 좀 부담스러운 면이 있었다.


그래서 이번 무게가 가벼워진 iPad Air도 끌리기도 하고 7인치 태블릿이 좀 관심이 가기도 하는 상황인데, 되도록이면 새로운 크기의 태블릿으로 한번 시도해 보는 것이 더 좋지 않겠나 싶다.



결론은


새로운 OS 및 크기에 대한 경험 & 저렴한 가격을 고려한다면 Google Nexus 7을 선택하려고 하고 있는데,

459,000원도 결코 적지 않은 금액이고 향후 AS 및 OS 업그레이드 지원 여부 등의 Risk를 감수하고 시도해 볼만한 지에 대해 아직 확신하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







요즘은 이래저래 복잡시런 생각만 늘어가는 것 같다.

그것이 나이를 먹고 있는 겐지도 모르겠지만...


그래서 2014년엔 너무 빨리만 돌아가는 세상 구경만 하다 시간 보내지 말고,

작은 일이라도 몇가지 테마를 정해 나의 스텝에 맞게 꾸준히 진행해 보고, 그 내용을 블로그에 정리해 보는 것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 중에 가장 먼저 생각난 것은 바로 "PC없이 태블릿으로만 살기"


일단 업무 영역까지를 한번에 전환하기는 어렵기도 하고, 자칫하면 밥줄 끊길지도 모르니...

우선적으론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영역에 대해서부터 한번 시도해볼까 한다.


개인적 사용 영역이라 하면, 


  - P2P 파일 다운로드 받기

  - 음악 듣기

  - 동영상 보기

  - 만화책 보기

  - (아주 가끔이지만) 글쓰기

  - 인터넷 정보(또는 쓰레기) 찾아보기

  - 쇼핑하기

  - 인터넷 뱅킹하기

  - 문서 보기(office)

  - 문서 쓰기(office)

  - 블로그 글쓰기

  - RSS 글보기

  - 기타 등등


일터인데...


크게 보면, (1) 인터넷 정보 브라우징 & 다운로드 / (2) 다양한 컨텐츠(텍스트, e-book, 이미지, 동영상, office 문서 등) 이용하기 / (3) 컨텐츠(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office 문서 등) 만들기 / (4) 인터넷 뱅킹하기 또는 쇼핑하기 정도의 작업인 것 같다.


이 모든 작업은 물론 스마트폰으로도 이미 가능하지만, 내가 궁금한 것은 태블릿으로 PC Life를 완전히 대체할 수 있는 것인지 라 태블릿을 이용해 해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다.


근데 왠지 벌써 대용량의 동영상 같은 것을 P2P로 다운로드 하는 것은 아직도 태블릿 보다는 PC로 해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긴 한다. P2P 걸어놨다가 Wi-Fi 접속이 끊겨서 3G 나 LTE로 다운로드가 진행되다면, 대형 사고가 될 듯 하기도... ^^


아직도 집에 와선 PC부터 켜는게 습관이긴 하지만, 좀더 다른 형태의 생활습관을 한번 만들어 보자는 취지도 있으니 넘 급하지 않게 진행해 볼 생각...






최근 국내 핸드폰 제조사들이 신제품의 라인업을 발표하거나, 내년 초 출시될 신제품에 대한 내용을 언급하면서 언론 플레이를 하는 것을 보았을 때 앞으로 제조사들이 가고자 하는 방향이 적잖이 궁금하다.


국내에서는 작년 11월말 아이폰 3Gs가 출시되면서 촉발된 스마트폰 전쟁이지만, 실은 전세계적으로는 모바일 플랫폼의 시장 점유율을 높이려는 경쟁들이 훨씬 더 이전부터 벌어지고 있었고 아이폰, 안드로이드, 심비안 등이 치열하게 경쟁을 하고 있었다. 그 와중에 삼성전자 역시 "바다"라는 플랫폼(?)을 들고나와 그 경쟁에 동참하겠다는 의지를 천명하기도 했다. (LG나 팬택의 경우 그런 움직임 조차도 없었던 것으로 보이고...)

그로부터 벌써 1년 이상의 시간이 지났지만, 요즘 국내 핸드폰 제조사들의 분위기는 모르긴 몰라도  HW에 대한 투자만 진행할 뿐이지 SW 육성에 대한 의지는 이미 물건너간 것으로 보인다.

듀얼코어 핸드폰을 세계에서 처음으로 출시를 하네, PC처럼 DDR 메모리를 사용해 속도가 죽여주네 하는 시덥잖은 소리는 해도, 세계 최고의 UI를 만들어서 경쟁하겠다던지, 세계 최고의 모바일 플랫폼을 구축하겠다 등의 SW에 대한 얘기는 안보인다.

애플의 iOS는 폐쇄 정책이니 가져다 사용할 수가 없고, 심비안의 경우 경쟁력이 떨어지니(특히 국내에서는), 결국은 구글이 던져주는 안드로이드를 가지고 HW 제조 창고의 역할을 서로 따오기 위해 구글에게 아양을 떨며 꼬리를 흔드는 격인 것 같다.

최근 업무를 위해 몇 개의 안드로이드 단말기를 수박 겉핧기 식으로 살펴보고 있는데, 삼성 / LG / 팬택의 안드로이드 UI는 각기 나름대로의 특색이 있으며, 서로 다르지만 그나마 한가지 공통점이 있다면 "아직은 UI가 열라 구리다."이다. (모토롤라와 HTC 단말기는 아직 잘 보지를 못했음)

HW 측면에서의 Spec 경쟁이라는 것도 분명 무시할 수 없고, 단말기 제조사로서는 강력한 하나의 경쟁 전략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그 뛰어난 HW에 아직 열라 구린 UI를 탑재하여 시장에서 장사를 하겠다는 것은 여전히 소비자를 봉으로 보며, 엿 먹이겠다는 의도와 다름이 아니지 않을까?

또 앞으로의 모바일 시장에서는 더욱 점점더 "제대로 된" 제품 또는 스마트폰이 전략적으로도 중요해지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애플 역시 과거에 비해서는 제품 라인업이 다양화 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그래도 항상 똘똘한 소수의 제품을 제대로 만들어(?) 승부를 걸어왔던 것이 나름 성공의 요인이 아니었나 싶다.

국내 S모전자 마냥 "HW는 열라 좋은데, SW는 발적화" 라는 식의 평가를 받아서는 *절대로* 브랜드 네임 밸류가 생길리가 없지 말이다.





아이폰 어플 중 블로그 관련 어플들이 있는 것을 보고 하나씩 테스트 하는 중...

모바일 포스팅에는 미투데이 또는 트위터 같은 마이크로블로그가 제격이지만, 그것은 또 그것대로 긴 호흡을 가져가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모바일 환경에서 블로깅을 환경을 테스트 해보게 되었는데, 역시 밖이 아니고서는 모바일 환경에서 운영하는 것은 다소 무리가 따르는 듯... 차차 익숙해 지겠지만... ㅋㅋ

엇 사진은 본문 배치와는 상관없이 첨부되어 버리는 것인가?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