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 영국에서 처음 보고됐을 때부터 관심있게 지켜보고 있던 내용인데, 이렇게 무분별하게, 무차별적으로 위험한 상황을 내몰리는 작금의 국가 현실이 기가 막히네요.

미국과의 이해관계도 무시할 수는 없겠지만, 국민의 건강과 생명이 최우선되어야 할터인데. 정부 담당자들은 너무 무책임한 것 같습니다.

일단 미국 쇠고기가 수입되기 시작한다면, 이는 어떤 형태로든 국내에 유통이 되기 시작할 것이고.
(저가 덤핑을 통해 대중 음식점이나 학교나 직장 구내식당으로 흘러들어갈 수도 있고,
정구 구매를 통해 군인에게 제공된다던지, 각종 구호단체에 제공될 수도 있습니다.)

저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제가 혹은 저의 가족, 우리나라 국민이 먹게 될 수도 있다는 것에 등골이 오싹해집니다.

동영상 내용에도 나오지만, 국민 건강과 안전이라는 것은 협상의 대상이 될 수 없으며 미국이 광우병으로부터 100% 안전하다는 확신이 들기전까지는 절대로 미국산 쇠고기는 수입되어서는 안됩니다.




KBS 스페셜 "인간 광우병" 1부







KBS 스페셜 "인간 광우병" 2부







KBS 스페셜 "인간 광우병" 3부



전혀 생각도 않하고 있었는데, 검색엔진을 통해서 블로그에 방문한 사람도 있었다. ㅡ.ㅡ;
인터넷에서 공개되지 않는 것을 기대하기는 힘들겠지만, 그래도 개인적인 부분이 좀 있었으면 하는 바램도 있었는데.

여하튼 내 블로그가 검색 상에 보이는 기분은 좀 묘하다.

그나저나 PC통신 하이텔 시절부터 사용해오던 닉네임 때문에 사이트 성격을 오해하는 방문자는 없었으면 한다. 닉네임으로 검색을 해 본 적이 없어서 몰랐는데, 주변에 검색되는 내용들은 다분히 오해를 불러일으킬만 하네. ㅡ.ㅡ;


조금 더 확인을 해보니, 구글에서 검색해서 접속한 경우까지 있었네.
더군다나 뭐 제대로 정리한 글도 아니고, 그냥 까먹지 않고 나중에 다시 생각해 보려고 끼적거렸던 글까지도 인터넷 상에서 검색되고 있었다니. ㅡ.ㅡ;

인터넷 업계에 종사하고 있으면서, 참 아이러니한 시츄에이션이네.









아래에도 썼듯이, 요즘은 워낙 프로젝트에 치어 살다보니 이런저런 생각들을 못하고 있기는 하지만.

최근 1-2년새(아니면 내가 모르던 새)에 Web쪽 개발 환경이 급격하게 변하고 있는 것 같다.

각종 Framework의 등장에서부터 IoC(Inversion of Control), AOP(Aspect-oriented Programming), SOA(Service-oriented Arthitecture) 등등.

Java 관련 Application Server도 Open Source 진영에서 많은 발전을 이뤄, Apache 재단의 Geronimo 프로젝트가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 듯 했다.

뒤처지지 않는 개발자가 되려면, 공부를 열심히 해야하는데.
난 맨날 이렇듯 프로젝트 일정에만 치이고 있으니. 쩝.

다음 프로젝트는 Apache Geronimo 혹은 SpriingFramework 등과 같은 IoC를 지원하는 Container와 Hibernate나 iBatis와 같은 OR Mapping Tool을 적용하고, Velocity와 같은 Template engine을 적용한 지대로된 MVC 환경에서 진행해 봐야겠다.

근데 다음번 프로젝트는 다른 곳의 소스를 가져다가 customizing하는 수준이 될 수도 있어서, 그럴 수 있는 기회가 있을까 모르겠네.



외부 이미지를 가져와 올리는 경우 미처 작업할 시간이 없었다던지, 작업할 환경이 안되는 경우 그냥 밋밋한 이미지를 올릴 수 밖에 없는데.

  • 이미지 크기 변경
  • 테두리 효과 등 간단한 이미지 효과

등을 줄 수 있는 이미지 관련 기능이 있으면 더욱 편리하겠네.

싸이 미니홈피의 경우 ActiveX를 설치해야 한다는 치명적 단점이 있기는 하지만, 일단 설치를 하고 나면 간단한 이미지 튜닝 작업을 할 수 있으니 사용성 면에서 더 나은 것 같던데.

뭐 이건 태터를 개발하는 개발진의 정책 방향성과도 연관이 있을 수도 있는 문제이니. 나서서 이래라 저래라 할 수는 없지 않겠어?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