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즘 이런 저런 생각이 많아 지고 있는 시기이다. 50대 오춘기라고나 할까? 앞으로 노후를 보낼 때 할 수 있는 일에 대해 생각하다. '작가' 라는 직업도 생각해 봤다. 근데 과연 '작가'란 사람들은 어떤 사람들일까? ^^ 내가 생각하기에 작가라는 사람들은 1. 하고 싶은 '이야기'가 있는 사람 2. 그 하고 싶은 이야기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사람 이다. 직접 경험하였던, 창작하였던 하고 싶은 이야기가 있는 사람이고, 이를 적절한 예술 장르(시, 소설, 사진, 영상, 음악 등)를 통해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야 '작가' 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요즘은 개인적으로도, 회사에서도, 사회적으로도 일이 잘 풀려간다는 느낌이 없다. 점점 더 뒤엉켜 가는 실타래에 같이 얽혀 있는 느낌이다. 퇴로와 언젠간 나아질 꺼란 희망이 없으니, 더 답답한 느낌이라고 해야 할까? 물론 코로나와 같은 전세계 역병이 창궐하여, 모든 경제 활동이 위축되고 무너지는 지금에는 나 이외의 많은 사람들도 비슷한 상황이겠지만. 그들의 사정은 그들의 사정이고, 나의 사정은 나의 사정이니... 어디 가서 속시원히 속풀이를 할 수 있는 일도 마땅찮고, 당분간은 잘 견뎌야 하는 걸까? 이웃 나라 일본에서는 작년대비 자살률이 높아졌다고 하는데, 코로나 등의 사회 분위기가 어느 정도 영향을 주었을 꺼란 건 익히 짐작할만 하다. 예전 정권 시절과는 다른 의미로서, 잘 견뎌 보세... (그 시절은..
벌써 2018년도 시작한 지 일주일이 넘어가고 있다.요즘 아버님 간병 등으로 주말에도 별도의 시간을 잘 내지 못하는 관계로 시간이 더 짧게 느껴지는 시기인 듯 하다. 한 살 더 늙다 보니, 지난 옛날을 떠올리거나 추억하고픈 생각이 더 강해진 듯 하다. 예전 같으면, '쇠털 같이 많은 날이 있는 걸' 하고 지나쳤겠지만, 아버님의 투병 상황을 옆에서 지켜 보다 보니 더더욱 지난 시간에 대한 추억이 빠져드는 듯 하다. (내가 한 살 더 늙은 것도 큰 영향을 주고 있는 듯 하고..) 지금은 주로 스마트폰 또는 구글 포토에 올려진 사진을 보며, 지난 날을 더듬고 있지만.. 사진 안에는 그 때 느꼈던 느낌과 생각까지 완벽하게 담기는 경우는 흔치 않기에, 그냥 내가 나중에 지금의 이 시간을 들쳐 보기 위한 방법으로 ..
태블릿으로 블로그를 써보겠다고 한 것도 벌써 몇년이 흘러 버렸네... 역시 뭔가를 쓰거나, 그리거나 하는 것은 태블릿으로도 아직은 무리인 듯 하다... 키보드 및 마우스, 펜 등의 입력 장치의 편의성을 넘어설 것이 아직 흔친 않은 듯... 결국 스마트폰과 태블릿은 컨텐츠를 소비하는 용도 또는 최소한의 컨텐츠를 생산하는 수준(사진, 동영상 찍고, 몇줄의 글 수준?)의 활용하는 것이 현재로서는 가능한 범주로 보임... 오랫만에 기지개 편다는 느낌으로 짦막한 글을 남김... ㅋㅋ
정말 오늘 같은 비는 근래 들어 처음인 것 같다. 어렸을 때는 제방시설이나 이런 것들이 워낙 열악했기에 서울에도 비가 오면 상습 침수되는 지역도 많았기는 했지만, 그 이후에는 꾸준히 제방 시설도 확충하고 하여 서울 시내가 물에 잠기는 경우는 그리 많지 않았던 것 같다. 오늘 아침 출근 준비 시간에 집 전기가 끊기는 것을 시작으로, 평소와는 다른 상황이 감지되기는 하였으나 출근 걱정에 대충 씻고 나와 봤더니 근처 지하철 역은 이미 아래와 같은 상황... ㅡ.ㅡ; 뭐 어디가 도로고, 어디가 인도인지... 근데 솔직히 이때까지도 우면산 산사태에 대해서는 전혀 모르고 "어떻게 출근하지?"만 걱정하고 있었다. 나름 위와 같은 상황을 대비한다고 준비한 출근 복장은... ㅋㅋ (일명 "모내기 패션") 근데 오늘 속속..
오늘 인터넷 매체 기사를 보다가 인상적인 문장이 있어 가져와 본다. 요즘 언론 매체에서의 보도 경향에 대한 분석 기사였는데, 이미 언론 보도의 초점이 현정권이 아닌 미래의 권력으로 향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는 종편선정 이후 조중동 기사 등을 통해서 대략 짐작이 되던 바이긴 하였으나, 이제는 본격적으로 미래 권력으로의 쏠림이 보다 가시화 되는 모양이다.) 여하간 그 기사에서는 제목과 같은 "또 한 정권이 이렇게 가고 있다." 라는 문장으로 마무리를 하고 있는데, 이 마무리 문장이 참 많이 와 닿기도 하고 한편으론 걱정이 되기도 한다. 정말 작년까지는, 아니 올해 1분기 정도까지는 서슬이 퍼렇다(?)고 생각되었는데 어느새 이렇게 레임덕 현상으로 권력이 줄줄 샐 뿐만 아니라 눈발까지 날리는 느낌이다. 권력..
- Total
- Today
- Yesterday
- 케이티
- 지혜
- 미국
- 투표
- 사진
- 화두
- 티스토리
- 미국산 쇠고기
- 창의성
- 스트레칭
- 현대자동차
- 성공
- 2007년
- 예병일
- 부자
- 리더쉽
- 사업가
- 이명박
- 공병호
- 예병일의 경제노트
- 광우병
- 행복한 경영이야기
- KT
- 프로젝트관리
- 인생
- 영화
- 습관
- 쇠고기
- 자기계발
- 아이폰4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