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7일 예정대로 Tmax에서 자체 개발(?)한 윈도우 제품 시연회를 가졌습니다. 며칠 전에 공개한 아래 스크린 샷이 조작설로 블로그 스피어를 뜨겁게 달궜었죠.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미지 출처 : [지디넷코리아] 티맥스 윈도 스크린샷 '공개'



아래 동영상은 오늘 제품 시연회에서 촬영된 것으로 추정되는 티맥스 윈도우 9 부팅 동영상입니다. 완전 안습이네요. 뭘 만들긴 만든건가요? 일단 한번 감상하시죠.






1. 위 스크린 샷과 다르게 제품 시연을 할 때에는 하단 Task bar가 MS 윈도우 제품군과 동일하게 작동을 하고 있습니다. 즉, 실행 중인 프로그램 리스트가 표시되고 있죠. 하지만, 위 스크린 샷에서는 탐색기가 작동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작 메뉴가 떠 있을 뿐만 아니라 Task bar에는 아무런 프로그램이 표시되어 있지 않습니다. 즉, 사전에 발표한 스크린 샷은 완전한 구라임이 밝혀졌습니다.

2. 그리고, 동영상 내용 중 부팅 시 로고가 출력된다는 것과 그 형태도 Windows XP와 너무 유사한 것 같습니다. "사용자 UI 환경의 경우 사용성의 혼란을 피하기 위해 유사하게 설계하였다"는 구라가 어느 정도 설득력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부팅 화면까지 사용자의 혼란을 피하기 위해 똑같이 만드나요?

3. 또한, 동영상 내용 중 빠른 속도로 지나가거나 영상이 해당 부분을 정확히 비추지 않아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MS Windows에서 프로그램의 분류 체계(?) 혹은 폴더 체계(?)인 "보조 프로그램"과 같은 하위 폴더도 똑같이 만들어져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최소한 이름이라도 좀 바꾸시죠?

뭐, 더 자세한 것은 실제 공개 버전을 다운로드 하여 설치를 해보아야 확실해 지겠지만, 스크린 샷 조작 이후 시연회를 했음에도 Tmax에서 뭔가를 만들긴 한거야? 라는 개인적인 의혹은 전혀 사라지지 않는 것 같습니다.

특히 1번과 같은 완벽한 구라 스크린샷을 통해 노이즈 마케팅을 시도하는 이유가 뭘까요? Tmax 입장에서 사용자들의 관심을 집중 받기 위함이었을까요? 아니면, Tmax에서 블로거를 가지고 놀고 싶었던 걸까요?





고 노무현 대통령의 영결식 및 노제가 있은 후 새벽 철거 과정 중 아래와 같은 상황이 전개되었다고 합니다. 영상을 보는 내내 답답한 마음이네요. 남대문 경찰서장님께서는 카메라 및 다른 사람이 보지 않으면 보고 하고, 카메라로 기록되거나 다른 사람이 지켜보면 보고를 못합니까? 그렇게 하는 일이 떳떳하지 못하세요? 누가 지시를 했고, 상부 방침인지 내용을 밝힐 수 없던가요? 당연히 그렇겠지요. 경찰 수뇌부는 일부 의경이 일탈 행위를 한 것이라고 거짓 변명을 하기 바쁘니, 해당 내용이 카메라에 기록되면 안되겠지요.

이것이 현재 대한민국의 주소입니다.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는 죽었습니다.

하지만,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는 다시 살아날 겁니다. 그때까지 살아 남으세요. 다들









평소 아무 생각없이 볼 수 있는 오락 영화를 즐기다 보니, 박찬욱 감독의 영화 중에서는 "올드보이" 정도가 기억에 남아 있는 정도였다. 많은 사람들이 감상을 했다는 "친절한 금자씨" 조차도 보지 않았다. (케이블 TV를 통해 몇번 볼 기회가 있었으나, 어째서인지 본 적이 없다.)

뭐 영화가 개봉하기 전에 주연배우인 송강호씨의 성기가 노출 되었다 어쩠다는 이야기가 화제가 됐었다는데, 그딴 건 관심사가 아니었고. 나의 기억 속에 강렬한 인상을 남긴 영화인 "올드보이"의 감독인 박찬욱 감독의 영화에 내가 좋아하는 배우인 송강호씨가 주연으로 나온다는 사실만으로 굉장히 관심이 가는 영화였다.(이 영화에 신하균씨가 조연으로 나온다는 사실조차 몰랐다. ^^)

이 영화의 경우 한글 제목인 "박쥐" 보다는 영어 제목인 "The Thirst"가 보다 적절한 표현이라는 생각이 든다. 뭐 그걸 한글로 "갈증", "목마름" 등으로 다시 번역을 한다면 웃기는 개그겠지만.

여기서 그려지고 있는 뱀파이어의 모습은 어렸을 때부터 영화에서 보았던 것과는 달리 커다란 송곳니도 없고, 박쥐로 변신을 할 수도 없다. 또한, 전혀 괴기스럽지 않은 모습으로 인간 속에 섞여 생활한다. 단지, 햇볕에 나설 수 없다는 것과 인간의 피를 마셔야 생명을 유지할 수 있고, 보통 인간 보다 훨씬 강력한 괴력을 가지고 있다는 설정은 그대로 가져간다. 한가지 웃기는 것은 등장하는 뱀파이어의 경우 일반적으로 다른 영화에 등장하는 수백년을 살아온 산전수전 다 겪은 고참의 모습이 아니고, 그저 우리 주변에 같이 생활하던 평범한 사람이 하루 아침에 뱀파이어화 된 것이어서. 그들은 자신의 모습에 스스로 놀라며, 고민하고, 방황한다.

영화의 소재가 소재이다 보니, 중간 중간 잔인하거나 혐오감을 유발할 수 있는 장면이 나오기는 하지만, 전체적인 영화의 흐름은 좋았던 것 같다. 글 서두에서도 이야기 하였듯이 난 작품 영화는 즐기지 않는다. 아니, 즐기지 않는다는 것보다는 대부분의 작품 영화를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이 더 적절하리라. 그럼에도 영화 "박쥐"는 스토리 라인에서 내가 완전히 튕겨나가지 않도록 완급 조절을 해주었다. (뭐 또 감독의 작품 세계를 이해하지 못하고 또 남의 다리 긁고 있는 소릴지도. ^^)

박찬욱 감독은 과장되고, 희화된 인물들을 통해 "인간의 본성"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있는 듯 하다. 인류를 위해 위험한 바이러스(EV)의 생체실험에 자신의 목숨을 던져 자원했던 신부 상현이 잘못된 피를 수혈 받아 뱀파이어가 되어 버린 아이러니한 상황과 부자연스럽고, 비인간적인 친구 가족과의 관계를 통해 이야기를 풀어간다. 특히, 극중 대사 중 저 포스터 속에 있는 대사가 가장 기억이 남는다.

"내가 이 지옥에서 데리고 나가 줄게요."

영화를 보는 도중에는 다소 혼란스러운 면이 있기도 하지만, 다 보고 나서는 나와 남에 대해서 곰곰히 생각하게 만들어 주는 영화인 것 같다. 그 예전에 봤던 "올드보이" 마냥 나의 머리 속에 강렬한 인상을 남기지는 않지만, 대신 나의 마음 속에 강렬한 화두를 심어놓는 영화인 것 같다.







디지털 뉴스 아키이브 바로 가기


디지털 뉴스 아카이브 라는 서비스가 생겼다. 90년대 초반 인터넷이 보급된 이후 뉴스 서비스도 인터넷화 되어 거의 대부분의 기사가 인쇄 매체 뿐만 아니라, 웹 페이지 형태로 제공되고 또한 과거 기사 검색이 진행되었다.

하지만, 인터넷이 보급되기 전 신문 기사의 경우는 각 신문사에 원본이 보관되어 있거나, PDF 스캔 또는 필름 형태로만 존재했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

이제는 그 기사에 대해서도 손쉽게 검색해볼 수 있는 서비스가 바로 디지털 뉴스 아카이브 서비스인 것이다. 솔직히 너무 오래된 내용이라 뭘 검색해야 할지 모르겠지만. 몇몇 기사를 읽어보니, 한자도 많고 문구 표현 자체가 지금과는 또 다른 것 같아서 나름 재미있다.

아직 내가 태어날 당시의 뉴스를 볼 수 없지만, 곧 볼 수 있을 꺼라 기대해본다.
혹시 내가 태어난 전 우주적인 경사도 뉴스에 나왔던거 아녀?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