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우병 파동으로 인해 미국 쇠고기 수입이 전면 중단된 이후, 작년 하반기부터 순살코기 부위를 전제로 한 수입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그때 수입 재개를 요구했던 논리가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 광우병의 주요 발병 원인이 주로 신경계와 뼈쪽에 많이 분포하기 때문에 순수 살코기 부위는 안전하다" 였습니다. (물론, 이 근거 논리에 대해서도 각국의 연구 결과가 다릅니다. 일본의 경우 순수 살코기에서도 광우병 발병 인자가 다수 분포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그 이후 실제 쇠고기를 수입해서 전수 검사를 하는 도중 뼈조각이 발견되습니다. 이에 모든 쇠고기는 반송조치되었으며, 해당 도축장의 쇠고기는 이후 반입 금지되었습니다. 이는 수입이 재개되기 전에도 이미 미디어 등을 통해 예견되었던 상황이었습니다. 또한, 미디어를 통해 드러난 미국의 공업 축산의 현실은 정말 추악하기까지 했습니다.

이제는 어떻게든 한쪽 발을 디민 미국이 나머지 발을 우겨넣어 시장을 개방하기 위해 압박을 하고 있습니다.

광우병은 잠복 기간이 꽤 긴 질병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약 7~15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미국 축산 산업이 광우병으로부터 확실히 벗었는지에 대해 확신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합니다. 섣불리 수입을 재개하여, 국민들의 안전을 위협할 필요가 없습니다.

정부에서는 이야기할 지도 모릅니다. 소비자가 알아서 선택하면 된다고. 하지만, 만일 미국산 쇠고기가 소매 시장에서 판매가 부진하다면 그 물량들이 어디로 갈까요? 수입 업자들이 소비자가 선택을 하지 않았다고 폐기 처분할까요?

일반 소비시장에서 선택되지 못한 물량들은 대중음식점, 구내식당, 학교 급식, 군대 급식 시장 등으로 넘어갈 수 있을 것입니다. 특히나 우리나라와 같이 식당 등에서 식재료의 원산지 표기에 대해 부실한 상황에서는 소비자들의 자의적인 판단을 하지 못하고, 스스로도 모르는 새에 미국산 쇠고기를 먹게될 수도 있습니다.

이런 제반 여건이 마련되거나 안정성이 검증되지 않은 상황에서 미국쪽의 압력에 의해 시장이 개방되는 상황은 막아야 합니다. 아니면, 최소한 소비자가 어떤 상황에서건 자의적인 소비 선택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지금의 미국산 쇠고기 수입 개방은 반대합니다.


[ 관련 기사 보기 ]



마린 블루스님 만화를 보던 중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더군요.
(마린블루스 홈페이지로 이동 - 2007년 2월 6일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금까지 음료수가 제로 칼로리라고 하면, 0.xxx Kcal라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즉 전체 음료수의 칼로리를 킬로(Kilo) 단위 칼로리로 환산했을 때 1 Kcal를 넘지 않는다라고만 생각했었던거죠. 하지만, 그 기준 단위가 100ml 이었을 줄이야. 더군다나 4 Kcal 이하이면 0 Kcal로 표시할 수 있다니. 완전 속았네 속았어.

이렇게 눈가리고 아웅할 수 있도록 입법 해준 놈들은 도대체 뭐야? 왜 4 Kcal 이하이면 0 Kcal로 표시할 수 있는거냐고? 4 Kcal 이면 4 Kcal 인거지.

PS : 그나저나 마린블루스는 정말 좋은 만화다. 일상 생활의 소소함에서 오는 즐거움을 주기도 하지만, 이런 몰랐던 새로운 지식을 전해주기도 하니까.






블로그에 이미지 요소가 너무 부족한 듯 하여, 도랑 치고 가재도 잡을겸. 구글 애드센스 이미지 배너를 달았다. 하지만, 이런 쉣! 아래와 같이 텍스트 위주의 공익광고만 나오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공룡이 언제 처음 살았던지는 궁금하지 않다고, 나에게도 니네들 도움말 페이지에 올려놓은 쌔근한 이미지 배너를 보내달라고.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런 거 말이야.

도대체 뭐가 문제인거야?


근데, 다른 블로거 님의 글을 보고 나도 채널을 다변화하여 광고 수익을 좀 올려볼까 하는 얄팍한 생각을 가지고 구글 애드센스에 다시 방문을 했더랬다. 하지만, 태터툴즈의 카테고리별로 채널을 나눴으면 좋겠는데, 방법을 전혀 모르겠다. URL 채널의 경우 각각 다른 URL을 가진 경우를 구분하는 건 알겠는데, 태터툴즈 카테고리별로는 채널 세분화를 못하나? 그렇게만 되면 좀더 세심한 타케팅이 될 수 있을 것 같은데.

누구 아시는 분 있으면 좀 알려주세요.


추가글 :

관련 정보를 찾아다니던 중 다음의 사이트에서 관련 내용을 찾았습니다.

http://link.allblog.net/1549598/http://plan9.co.kr/tt2/310

내용인 즉, "제가 posting한 article에 붙여줄만한 광고가 없었다." 입니다.
뭐 다른 포스트를 하나만 찍어서 보니 이미지 배너가 나오기도 하는군요.













링크 : http://www.osalt.com/


블로그 떠돌기를 하던 중 flyingmt blog 에서 발견한 사이트 주소.

원문을 올리신 블로거의 설명에 따르면


"우연히 인터넷을 돌아다니다가 찾은 사이트이다. 상용소프트웨어를 프리웨어로 갈아탈 수 있게 상용소프트웨어를 선택하면 그에 대응되는 프리웨어를 찾아준다... "


란다.


예전에 한참 찾다가 포기를 했던 Web load test tool 에 대해서는 OpenSTA 라는 것을 알려준다. 진즉에 이런 사이트를 알았으면 고생을 좀 덜했을텐데.

나중에 시간 날때마다 내용을 찬찬히 살펴봐야겠다.




+ Recent posts